맨위로가기

존 켄드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켄드루는 영국의 생화학자이자 분자생물학자로,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X선 회절을 통해 규명한 공로로 1962년 막스 페루츠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화학 학위를 받은 후 제2차 세계 대전 중 레이더 연구에 참여했으며, 종전 후 케임브리지 대학교 캐번디시 연구소에서 막스 페루츠와 함께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마이오글로빈의 구조를 밝히는 데 성공했으며, 유럽 분자 생물학 기구 창립 멤버, '분자 생물학 저널' 창간 및 편집장을 역임했다. 또한, 런던 왕립 연구소 데이비-패러데이 연구실 지도자, 유럽 분자 생물학 연구소 초대 소장, 대영 박물관 이사, 국제 과학 연합 평의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결정학자 - 제니퍼 다우드나
    제니퍼 다우드나는 1964년생 미국의 생화학자로, CRISPR-Cas9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에 기여하여 202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윤리적 문제 논의와 기술 상용화에도 기여한다.
  • 결정학자 - 윌리엄 헨리 브래그
    윌리엄 헨리 브래그는 X선 분광기를 발명하고 X선 결정학을 창시하여 191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과학 발전과 교육에 기여한 영국의 물리학자이다.
  • 잉글랜드의 생물학자 - 찰스 다윈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론을 제시하여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초를 세운 영국의 자연과학자이다.
  • 잉글랜드의 생물학자 - 제임스 러브록
    제임스 러브록은 가이아 가설을 제창하고 여러 과학 기기를 개발한 영국의 독립 과학자이자 발명가, 저술가로서, 환경 문제에 대한 독특한 견해로 주목받았다.
  • 생물물리학자 - 에르빈 네어
    에르빈 네어는 세포 내 단일 이온 채널의 기능 발견에 기여한 독일의 생물물리학자로, 베르트 자크만과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패치 클램프 기법 개발로 이온 채널 연구에 혁명을 일으킨 공로를 인정받아 여러 상을 수상했고 현재 막스 플랑크 연구소에서 활동하며 대학교 명예교수로도 재직 중이다.
  • 생물물리학자 - 피터 맨스필드
    피터 맨스필드는 자기 공명 영상(MRI) 기술 발전에 혁신적인 기여를 하여 200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영국의 물리학자로, MRI의 '슬라이스 선택' 기법과 에코 플래너 영상(EPI) 기법을 개발하여 현대 의학 영상 분야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존 켄드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 켄드루 노벨
존 켄드루 (1962년)
출생명John Cowdery Kendrew
출생일1917년 3월 24일
출생지잉글랜드 옥스퍼드셔주 옥스퍼드
사망일1997년 8월 23일
사망지잉글랜드 케임브리지셔주 케임브리지
국적영국
학력 및 경력
분야결정학
직장MRC 분자생물학 연구소
피터하우스, 케임브리지 대학교
영국 공군
모교클리프턴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박사 지도교수맥스 퍼루츠
학문적 조언자맥스 퍼루츠
박사 학위 논문 제목X-선 결정을 이용한 특정 결정 단백질 연구 : 태아 및 성체 양의 헤모글로빈과 말 미오글로빈의 결정 구조
박사 학위 논문 년도1949년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주목할 만한 학생제임스 D. 왓슨 (박사후 연구원)
박사 졸업생휴 헉슬리
루버트 스트라이어
군 복무1941년–1945년
소속영국 공군
계급윙 커맨더 (RAFVR)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업적
알려진 업적헴 함유 단백질
수상
수상 내역노벨 화학상 (1962년)
로열 메달 (1965년)
기타 정보
존 켄드루 서명
존 켄드루 서명

2. 생애 및 교육

존 켄드루는 옥스퍼드에서 윌프리드 조지 켄드루와 에블린 샌드버그-바발라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옥스퍼드 대학교기후학 강사였고, 어머니는 미술사학자였다. 그는 옥스퍼드의 드래곤 스쿨과 브리스톨의 클리프턴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다. 1936년 케임브리지 대학교트리니티 칼리지에 장학생으로 입학하여 1939년 화학 학위를 받았다.[9]

1945년 막스 페루츠와 캐번디시 연구소에서 동료가 되었다. 그곳에서 호흡 생리학자 조셉 바크로프트 박사의 제안으로 태아 과 성체의 헤모글로빈의 차이에 대해, 결정화된 단백질을 이용한 연구를 시작했다. 1947년 피터하우스 특별 연구원이 되었으며, 의료 심의회로부터 분자 구조 해명을 위한 연구팀을 결성할 허가를 받았다. 1954년 런던 왕립 연구소의 데이비-패러데이 연구실의 지도자가 되었다.[9]

이후 단백질을 X선 회절로 분석하여, 그 3차 구조를 세계 최초로 해명했다. 1965년 로열 메달을 수상했고, 1967년 미국 생화학회의 특별 연구원이 되었다. 1960년 왕립 학회 펠로우(연구회원)로 선출되었으며, 1997년 옥스퍼드에서 사망했다.[9]

2. 1.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39년 옥스퍼드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를 졸업하고 반응 속도론을 연구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항공성 연구 시설에서 레이더 개발에 참여했고, 공군 본부에서 작전 연구를 수행하여 공군 중령 명예 계급을 받았다.[9]

3. 연구 경력

존 켄드루는 전쟁 기간 동안 생화학에 관심을 가지면서 단백질 구조 연구를 시작했다. 1939년 옥스퍼드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를 졸업한 후 반응 속도론 연구를 진행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레이더 개발과 공군 본부에서 작전 연구를 수행했다.[10]

1945년 캐번디시 연구소에서 막스 페루츠와 함께 연구를 시작했으며, 호흡 생리학자 조셉 바크로프트의 제안으로 태아 과 성체의 헤모글로빈 차이를 연구했다. 1947년 피터하우스 특별 연구원이 되었고, 의료 심의회(MRC)로부터 분자 구조 연구팀을 결성할 허가를 받았다. 1954년에는 런던 왕립 연구소의 데이비-패러데이 연구실 지도자가 되었다.[10]

이후 단백질을 X선 회절로 분석하여 세계 최초로 그 3차 구조를 해명하였다. 1960년 왕립 학회 펠로우로 선출되었고, 1965년 로열 메달을 수상했다.[10]

3. 1. 결정학 연구

1962년 노벨 화학상은 X선 결정학을 사용하여 최초로 단백질의 원자 구조를 규명한 공로로 막스 페루츠와 존 켄드루에게 공동 수여되었다.[10] 이들의 연구는 현재 MRC 분자생물학 연구소인 케임브리지에서 수행되었다. 켄드루는 근육 세포에서 산소를 저장하는 단백질인 마이오글로빈의 구조를 규명했다.[10]

1947년 MRC는 생물학적 시스템의 분자 구조 연구를 위한 연구 부서를 설립하는 데 동의했다. 초기 연구는 양 헤모글로빈의 구조에 관한 것이었지만, 켄드루는 헤모글로빈 분자의 4분의 1 크기인 마이오글로빈 연구에 착수했다. 초기에는 의 심장을 원료로 사용했지만, 얻은 결정은 X선 분석에 너무 작았다. 켄드루는 잠수 포유류의 산소 보존 조직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우연한 기회로 페루에서 고래고기를 대량으로 얻게 되었다. 고래 마이오글로빈은 깨끗한 X선 회절 패턴을 가진 큰 결정을 제공했다.[10]

진행 중인 마이오글로빈 모형을 들고 있는 존 켄드루. 케임브리지 분자생물학 연구소 저작권.


1953년 막스 페루츠가 회절 패턴 분석의 위상 문제를 여러 결정의 패턴을 비교하여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기 전까지는 이 문제는 풀리지 않았다. 페루츠는 자연 단백질에서 얻은 패턴과 중금속 용액에 담가 금속 이온이 잘 정의된 다른 위치에 도입된 패턴을 비교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1957년까지 6 옹스트롬 (0.6 나노미터) 해상도의 전자 밀도 지도가 얻어졌고, 1959년까지 2 옹스트롬 (0.2 nm) 해상도의 원자 모형을 구축할 수 있었다.[11]

3. 2. 미오글로빈의 결정 구조

1947년 MRC는 생물학적 시스템의 분자 구조 연구를 위한 연구 부서를 설립하는 데 동의했다. 초기 연구는 양 헤모글로빈의 구조에 관한 것이었지만, 당시 이용 가능한 자원을 사용하여 이 연구가 가능한 한 많이 진행된 후, 켄드루는 헤모글로빈 분자의 4분의 1 크기인 마이오글로빈 연구에 착수했다. 그의 초기 원료 공급원은 의 심장이었지만, 이렇게 얻은 결정은 X선 분석에 너무 작았다. 켄드루는 잠수 포유류의 산소 보존 조직이 더 나은 전망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우연한 만남으로 인해 페루에서 고래고기를 대량으로 얻게 되었다. 고래 마이오글로빈은 깨끗한 X선 회절 패턴을 가진 큰 결정을 제공했다.[10] 그러나, 1953년 막스 페루츠가 회절 패턴 분석의 위상 문제를 여러 결정의 패턴을 비교하여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할 때까지 이 문제는 여전히 해결할 수 없었다. 즉, 자연 단백질에서 얻은 패턴과 중금속 용액에 담가 금속 이온이 잘 정의된 다른 위치에 도입된 패턴을 비교했다. 1957년까지 6 옹스트롬 (0.6 나노미터) 해상도의 전자 밀도 지도가 얻어졌고, 1959년까지 2 옹스트롬 (0.2 nm) 해상도의 원자 모형을 구축할 수 있었다.[11]

3. 3. 이후 경력

1963년, 켄드루는 유럽 분자 생물학 기구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으며, ''분자 생물학 저널''의 창간자이자 오랫동안 편집장을 역임했다.[3] 1967년에는 미국 생화학자 협회의 회원, 뮌헨 국제 과학 아카데미의 명예 회원이었다. 1974년에는 정부를 설득하여 하이델베르크에 유럽 분자 생물학 연구소(EMBL)를 설립하게 했고, 초대 소장이 되었다. 같은 해 기사 작위를 받았다.[3] 1974년부터 1979년까지 대영 박물관의 이사였으며, 1974년부터 1988년까지는 국제 과학 연합 평의회의 사무총장, 부회장, 회장을 차례로 역임했다.

EMBL에서 은퇴한 후, 켄드루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세인트 존스 칼리지의 총장이 되었고, 1981년부터 1987년까지 그 직을 수행했다. 그는 유언을 통해 개발도상국 출신 학생들을 위한 과학 및 음악 분야의 장학금으로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 유증했다. 2010년 10월 16일에 공식적으로 개관한 옥스퍼드의 세인트 존스 칼리지 내 '켄드루 쿼드랭글'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2]

4. 수상 및 서훈

존 켄드루는 1962년에 노벨 화학상[1], 1965년에 로열 메달[1]을 수상했다. 1963년에는 대영 제국 훈장 3등급(CBE)을 받았고[16], 1974년에는 기사작위(Knight Bachelor)에 서임되었다[17]

4. 1. 수상

4. 2. 서훈

5. 저서

존 켄드루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저널제목
1949년Endeavour태아 혈색소(Foetal haemoglobin) [10]
1954년Nature미오글로빈의 종 특이성(The species specificity of myoglobin) [9]
1955년Nature미오글로빈의 이미다졸 복합체와 헴 그룹의 위치(Imidazole complexes of myoglobin and the position of the haem group) [8]
1956년Nature미오글로빈의 헴 그룹 방향과 폴리펩티드 사슬 방향과의 관계(Orientation of the haem group in myoglobin and its relation to the polypeptide chain direction) [7]
1958년NatureX선 분석으로 얻은 미오글로빈 분자의 3차원 모델(A three-dimensional model of the myoglobin molecule obtained by x-ray analysis) [6]
1959년Federation Proceedings미오글로빈과 다른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Structure and function in myoglobin and other proteins) [5]
1961년Nature아미노산 서열, X선 방법 및 화학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The amino-acid sequence x-ray methods, and its correlation with chemical data) [4]
1961년Nature정자 고래 미오글로빈의 아미노산 서열. 정자 고래 미오글로빈과 인간 헤모글로빈의 아미노산 서열 비교(The amino-acid sequence of sperm whale myoglobin. Comparison between the amino-acid sequences of sperm whale myoglobin and of human hæmoglobin) [3]
1961년Scientific American단백질 분자의 3차원 구조(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a protein molecule) [2]
1962년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구상 단백질의 구조(The structure of globular proteins) [1]
1966년Bell & Hyman생명의 가닥: 분자 생물학 입문(The thread of life: an introduction to molecular biology)


참조

[1] 학위논문 Investigations of biological structures by X-ray methods : the structure of muscle http://ulmss-newton.[...] University of Cambridge 1953
[2] 웹사이트 John Kendrew academic genealogy https://academictree[...]
[3] 학술지 Sir John Cowdery Kendrew. 24 March 1917 - 23 August 1997: Elected F.R.S. 1960
[4] 서적 Clifton College Register J.W Arrowsmith for Old Cliftonian Society 1948-04
[5] 런던 가제트 1941-10-07
[6] 런던 가제트 1944-07-28
[7] 런던 가제트 1945-07-06
[8] 학위논문 X-ray studies of certain crystalline proteins : the crystal structure of foetal and adult sheep haemoglobins and of horse myoglobin http://ulmss-newton.[...] University of Cambridge 1949
[9] 웹사이트 John C. Kendrew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10] 학술지 Structural biology: How proteins got their close-up https://knowablemaga[...] 2022-03-01
[11] 학술지 Structure of myoglobin: A three-dimensional Fourier synthesis at 2 A. resolution. 1960-02
[12] 웹사이트 The 21st Century: Kendrew Quadrangle https://www.sjc.ox.a[...] St John's College, Oxford
[13] 뉴스 John C. Kendrew Dies at 80; Biochemist Won Nobel in '62 https://www.nytimes.[...] 1997-08-30
[14] 웹인용 John Cowdery Kendrew http://people.embo.o[...]
[15] 저널 Sir John Cowdery Kendrew. 24 March 1917 - 23 August 1997: Elected F.R.S. 1960
[16] 저널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63 Birthday Honours https://www.thegazet[...] 1963-05-31
[17] 저널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74 New Year Honours https://www.thegazet[...] 1973-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